파이노드 하드디스크 용량부족, 포트오픈 이슈 해결
#파이노드 #하드디스크 #용량부족 #PINODE #노드 #포트오픈
파이노드를 돌리다 보면 여러 이슈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대한 대응을 하면서 몇 가지 포인트를 알게 된다.
안정적으로 돌리려면 노트북보다는 데스크탑이 우수하고
365일 돌리다보면 데스크탑 그래픽카드 나가고
파워도 나가고
하드디스크 용량이 부족해서 시스템 다시 세팅이 필요할 수도 있고
생각보다 험난한 길이다.
Pi Node version number: 0.4.11
Operating system: WINDOWS 10.0.19045 (Microsoft Windows 10 Pro)
Using Docker Toolbox: No
Node installation date: 2022-10-09
Availability (up to 90 days): 74.06% from 2024-06-02 to 2024-08-31
설치에 대한 주요사항은 많이 소개되어 있으니
요약해서 설명하자면
- 파이노드 설치 및 도커 설치
이후 노드를 돌리게 되면 Latest 블락을 따라오게 되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WHrWp/btsJorlsFKp/kARqfkKk6NqxTMQlozckY0/img.png)
일차적으로 하드디스크 용량이 부족해지면 Remove All Blockchain Data를 진행해
용량을 확보할 수 있지만 금새 다시 차오르는 상황을 볼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y57KC/btsJnGjas1R/kkv3rzfLr0PJHiMKFKuBqk/img.png)
500기가 SSD가 99% 차버리는 상황까지 오니 1테라로 변경해야 하는 생각을 잠시 했지만
시스템을 바꾸려면 삼성으로 구매해서 고대로 카피떠서 진행하는게 제일 편한 상황인데
비용도 추가로 들어가고
![](https://blog.kakaocdn.net/dn/bVwXy3/btsJnGDqBvl/8vGUSaF8r6matUWEHyOxJK/img.png)
TreeSizeFree 무료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해 보니
Docker 녀석이 300GB를 사용하고 있었다.
위의 상황은 여기 차가로 폴더 안으로 진입해서 Docker Data로 추정되는 녀석을 삭제하고
용량을 확보한 상황
![](https://blog.kakaocdn.net/dn/bzcb15/btsJmJ8GvdY/bEg7lqcBAiMxHQ3gbg4OsK/img.png)
Grass 노드도 의심해 보았는데 TreeSize Free 덕분에 범인을 색출해냄 Docker 요녀석
이후 이슈는 보다 높은 노드 보너스 보상을 받으려면
고정아이피를 설정하고 포트를 열어서 Incomming Connections를 받아야 함
초기에 설정이 잘 잡히지 않아서
그냥 Incomming 없이 노드 돌림 그래도 노드 보너스는 있음
포트를 열어주면 프로그램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https://blog.kakaocdn.net/dn/blo7tW/btsJm5w2wOy/VWN5VZF7RROuGrhhD0buV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efsMtH/btsJnXdOH9W/VIXho4FxOHOMqMq3riqQbK/img.png)
위의 Open rounter ports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포트 여는 방법으로는
1. cmd - ipconfig /all 을 통한 아이피 확인
2. kt 공유기 접속 (172.30.1.254) / 타공유기는 다른 아이피
3. 장치설정-네트워크 관리-LAN 연결설정 IP할당
4. 네트워크 연결 - 이더넷 - 설정 - 자동에서 할당된 고정아이피로 변경
4. 트래픽 관리에서 외부포트 31400:31409를 내부 IP로 포트 포워딩 설정해준다.
상세내용은 아래의 블로그 참조 가능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2tZr/btsJmNcgYB1/vBP0b8kLvGnkQPrNbFhFnk/img.png)